월간 최신의학정보 8월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31회 작성일 25-08-08 11:16본문
연세정&김내과 월간 최신 의학정보
양재역 3-4번출구 양재SK허브 3층 위대장내시경+일반내과의원 문의 6205-7582
2025년 8월
췌장 이식하여 당뇨병을 완치시킬수 있는가, 최근 연구
췌장을 이식했을 때 가장 큰 문제는 콩팥, 간을 이식받은 환자들처럼 평생 이식된 장기에 대한 거부 반응을 예방하기 위한 면역 억제제를 평생 복용해야 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표적인 면역억제제인 싸이클로스포린의 경우, 고혈압, 신장독성, 암 발생 등등 여러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스웨덴 웁살라 대학에서 1형 당뇨병 환자에게 유전자 변형을 시킨 췌장 세포를 이식했는데, 면역억제제 투여없이 이식에 성공하였다. 이식 환자의 거부 반응을 회피하기 위하여 유전자 조작을 하였고, 이렇게 유전자 조작을 한 췌장 세포를 당뇨병 환자의 전완부에 이식한 것이다. 그 당뇨병 환자에게 어떤 면역 억제제도 투여하지 않았고 12주 동안 이식된 췌장 세포에 대한 어떤 면역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이식된 췌장세포에서 인슐린이 분비됨이 확인되었고, 포도당 수치에 따라 인슐린 분비량이 조절되었다. 약간의 이상 반응이 있었지만,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남의 췌장을 이식 성공하였고 인슐린을 끊을 수 있다면 당뇨병은 완치된 것이다. 그런데 이식후 면역 억제제를 평생 먹어야 된다면 그리고 그 약에 의한 부작용이 생긴다면 췌장 이식에 의한 성취가 상당부분 희석될 수 밖에 없고 심지어 췌장이식을 안하고 인슐린을 평생 맞는 것으로 선택할 가능성도 아주 높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소량의 조직이지만 면역억제제없이 췌장 이식에 성공하였다. 미래 언제인가에 외부인슐린 투여을 끊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부피의 췌장세포를 이식하였을 때, 그 때도 면역억제제없이 췌장 이식에 성공한다면 우리는 이 방법으로 당뇨병을 완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